본문 바로가기
금융 스토리텔링

돈의 양이 증가하는 이유

by lovely1471 2024. 12. 30.
반응형

경제 서적인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를 읽고 내 관점에서 정리하고 의견을 작성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그 이유에 대해 궁금하면 돈의 양은 어떻게 증가하는지 알아야 한다. 또, 돈의 양이 어떻게 증가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예금과 대출'에 대해 알아야 한다. 

 대부분 사람은 예금을 은행에 돈을 보관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고, 대출은 누군가가 은행에 예금한 돈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것이라고 알고 있다. 따라서 은행은 돈을 보관하고 그것을 그대로 대출해서 어느 정도의 수익을 챙긴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우리가 은행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떠올리는 생각이며, 이것은 착각이다.

보통 우리는 '조폐공사에서 돈이 찍힌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실물로 만지는 돈은 전체 돈의 극히 일부이다. 나머지는 숫자로만 찍히는 가상의 돈, 즉 우리가 만질 수 없는 돈이다. 

그렇다면 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의문점이 생긴다. 그 답은 은행이 예금을 받고, 대출을 해주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쉽게 알기 위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집에 있는 금고에 100만원을 넣어둔다고 하면, 아무리 오랜 세월이 지나도 100만원은 그저 100만원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 만약 그 돈을 은행에 예금하면, 은행은 그 돈을 가만히 보관하지는 않는다. 은행은 100만원이 들어오면 그중에서 10만원만 남기고 나머지 90만원은 A라는 사람에게 대출, 즉 빌려준다. 그렇게 되면 나의 통장에는 이미 100만원이 찍혀 있으며 A라는 사람의 대출 통장에도 90만원이 찍혀있다. A도 90만원을 쓸 수 있게 되었으니, 나 자신과 A가 동시에 쓸 수 있는 돈은 190만원이 된다. 따라서 100만원의 예금이 대출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90만원이라는 새로운 돈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처 갑자기 생긴 90만원을 '신용통화'라고 한다. 

이런 상황이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 건지 의문이 생긴다. 그 답은 정부의 허락에서 찾을 수 있다. 은행이 100만원의 예금을 받으면 10%만 남기고 나머지 90만원을 대출해도 된다고 정부가 허락했기 때문이다. 이런 정부의 허락은 1963년 미국 연방준비은행 FRB에서 만든 매뉴얼에도 나와 있다. 그 매뉴얼에 따르면, 은행은 '부분지급준비율'로 10%의 돈을 은행에 남겨두어야 한다. '부분지급준비율'은 예금한 고객이 다시 자기 돈을 찾아갈 것을 대비하여 은행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돈의 비율이다. 실제의 돈보다 더 많은 돈이 시중에 돌고 있는 것은 '지급준비율' 때문이다. 그래서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우리가 실물로 만지는 돈은 전체 돈의 극히 일부이며, 나머지 돈은 숫자로만 찍히는 가상의 돈이라고 한 것이다. 

 은행은 사람들이 은행에 예금한 돈은 절대 보관만 하지 않는다. 나의 통장에 내가 예금한 돈만큼 숫자가 찍혀있는 것이고, 나머지 90%의 돈은 다른 사람들에게 대출되는 것이다. 은행은 사람들이 예금한 돈의 90% 금액을 그들의 통장에 찍히게 하면서 돈을 창조하고 있다. 따라서 은행은 돈을 보관하고 그것을 대출하여 수익을 챙기는 것이 아니다. 없던 돈을 만들어내며 수익을 챙기고 있다. 

 대한민국의 통화량 증가 그래프와 물가 상승 그래프를 비교하면 두 곡선이 거의 일치한다. 이는 통화량과 물가가 관련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통화량이 증가하여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 즉 통화팽창이라고 한다.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 체제는 돈을 창조하는 사회라고 봐야 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만든 원인은 '은행'임을 알 수 있다. 은행 때문에 돈의 양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물가가 오른다. 평소에 사람들은 경제 활동이 어려워져서 물가가 오른다고 생각한다. 또,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물가를 원자재 가격이 올라서 물건의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하며 물가를 올린다. 그러나 물가가 오르는 것은 소비가 늘어나기 때문도 아니고, 기업들이 더 많은 이익을 취하기 위해서도 아니다. 바로 돈의 양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는 은행 때문이며, 자본주의 시스템은 은행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은행은 사람들이 예금한 돈의 10%만 남기고 나머지 90%는 다른 사람들에게 대출해 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은행의 운영 방식이 작동하려면 '사람들이 은행에 예금한 돈을 한 번에 모두 꺼내가지 않는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제프리 마이론 교수님은 이런 은행의 운영 방식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그는 모든 사람이 같은 날 예금한 돈을 전부 인출한다면 은행은 파산할 것이라고 했다. 은행이 보유한 돈은 예금액의 100%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꺼번에 예금액을 찾으려 하면 금융기관은 무너지는 금융위기가 발생한다고 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뱅크런'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은행이 평소 뱅크런을 크게 걱정하지 않는 이유는 심각한 부실 상태가 일어나지 않고서는 뱅크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은행은 지급준비율이 낮을수록 더 적은 돈만 남겨두고 나머지 돈은 다른 사람들에게 대출해 준다. 따라서 지급준비율이 낮을수록 은행은 더 많은 돈을 불릴 수 있다는 것이다.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을 결정하며, 재정적으로 경제를 안정시키고 불황을 줄이는 금융기관이다. 그래서 중앙은행은 돈이 더 필요하면 돈을 공급하고, 인플레이션 때문에 통화량을 줄여야 할 때는 돈을 가져간다. 이와 같이 중앙은행은 돈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역할을 하기 위해서 중앙은행은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첫 번째 방법은 이자율, 즉 기준금리를 통제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이자율을 높이거나 내려서 시중에 있는 돈의 양을 조절하고 있다. 이자율을 낮추면 통화량이 증가하고, 이자율을 높이면 통화량은 줄어든다.

이자율이 낮으면 은행은 돈을 더 많이 빌려도 된다고 생각하고, 한국은행에서 돈을 많이 빌려 보유한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사람들에게 대출해 줄 수 있는 돈이 많아지고, 사람들도 이자율이 낮아 부담을 덜 느끼고 돈을 더 많이 빌리게 된다. 이러면 시중에 돈이 많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자율이 낮으면 시중에 돈의 양이 늘어나게 된다. 이에 반대로 이자율이 높으면 은행은 한국은행에서 돈을 많이 빌리는 것이 힘들어지고, 돈이 부족하여 사람들에게 대출해 줄 돈도 부족해진다. 사람들도 이자가 높아 많은 돈을 대출받기 힘들어 시중에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두 번째 방법은 중앙은행에서 직접 새로운 화폐를 찍어내는 것이다. 이에 관련하여 다음 글에서 설명하겠다. 

 

반응형